서브메뉴 영역
본문 영역
가정생활
소홀하기 쉬운 가정에서의 위험요소
- 가구는 넘어지지 않도록 안전한 장소에 배치한다.
- 계단에는 손잡이를 설치한다.
- 손이 닿지 않는 곳은 사다리를 사용한다.
- 전기기구의 코드는 걸어다니는 곳에 설치하지 않는다.
- 과다한 왁스는 위험하다.
- 안정된 속도(천천히)로 걷는다.
- 구두에 걸리지 않도록 바지길이를 적당히 유지한다.
- 엎지러진 물이나 기름은 즉시 닦아낸다.
- 계단에 물건을 놓지 않는다.
- 물건을 운반할 때 시야가 보이도록 한다.
- 층계나 출입이 빈번한 통로는 밝게 한다.
- 걸려 넘어질 수 있는 장난감 및 물건 등은 정리 정돈하여 둔다.
- 어두운 곳에서 더듬거리는 것을 피한다.
- 계단의 위나 아래에 깔판 등 미끄러운 것을 놓지 않는다.
- 부서진 마루나 마모된 바닥은 미리 수선한다.
- 무거운 물건을 함부로 들거나 옮기기 위해 무리한 동작 급격한 동작은 돌발적 요통의 원인이 된다.
- 계맞지 않는 공구는 무리하게 사용하지 않는다.
- 작은 위험도 방치하면 큰 위험이 된다.
- 샤워장이나 욕조에는 미끄러지지 않도록 손잡이를 설치한다.
- 의자 등 불안전한 발판을 사용하지 않는다 .
- 비오는 날 현관에 우산꽂이를 준비하고 흘린 빗물은 즉시 닦는다 .
- 무딘 칼이라도 함부로 다루지 않는다 손을 베이거나 절단 되는 사고를 당할 수 있다.
- 추락사고는 높은 곳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사람 키와 비슷한 곳에서 주로 발생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.
가정생활에서의 응급처치
- 구급상자의 내용물을 파악해 둔다.
- 구급상자의 비치장소는 눈에 잘 띄는 일정한 곳을 정한다.
구급상자는 사용 후 반드시 제자리에 보관한다.
보관장소는 습기가 없는 건냉한 곳이 좋다.
- 언제나 청결을 유지한다.
다른 사람이 쓰기 쉽게 항상 정리 정돈해 둔다.
- 약이 떨어진 것은 보충해 둔다..
수시 확인하여 유효기간이 지난 약은 교체해 둔다.
쇼크를 받은 경우
- 의식을 잃은 환자의 혈액순환을 위해 옆으로 눕힌다.
- 목이나 척추를 다친 경우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환자를 움직여서는 안된다.
- 즉시 병원으로 옮긴다.
화상을 당한 경우
- 화상부위를 찬물에 담근다.
- 수압으로 수포가 파열되지 않도록 수건 등을 댄다 .
- 광범위한 화상인 경우 의복을 벗기는 시간을 허비하지 말며 안전부위 위에 물을 흘려서 차갑게 한다.
응급조치 후, 즉시 병원으로 옮긴다.
- 화상부위를 깨끗한 찬으로 가볍게 덮는다.
- 된장이나 연고, 기타 전래요법은 함부로 사용하지 않는다.
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「제 1유형:출처표시」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페이지 만족도, 한줄의견, 자료실명제
- 자료관리:
- 재난안전과 지예림
- 전화:
- 02-2148-3023
- Fax:
- 02-2148-5912
- 최종수정일:
- 2021년01월22일